티스토리 뷰
목차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에서는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에게 취업 역량 강화와 경제적 지원을 통해 노동시장으로의 원활한 진입을 돕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선정 기준, 제출서류, 신청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 선정 기준
1) 참여 이력 요건
- 신청일 기준 최근 2년 이내에 「고용정책기본법」 제15조의5에 따른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통합정보전산망에 등재된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 이력이 있어야 합니다.
2) 사업 유형
- 해당 사업은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어야 합니다.
3) 중도탈락자 제외
- 1개월 이내 중도 탈락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본인의 의사나 근로 불성실 등의 사유로 사업에 성실히 참여하지 않은 경우 해당합니다.
2. 제출서류
- 제출서류: 없음
-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 여부는 재정지원일자리사업 통합정보전산망을 통해 자동 확인되므로 별도의 제출 서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시 필요 서류 및 신청서 작성 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생계 안정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를 원활히 신청하기 위해서는 필수 제출 서류를 정확히 준비하고, 신청서 작성 방법 및 제출 절차를 이해하는 것
eco.economical-life.com
3. 주요 직접일자리 사업 예시
- 공공근로사업
- 공공기관에서 단기적으로 추진하는 지역 내 공공일자리 사업.
-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 지역 복지 증진과 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되는 일자리 사업.
- 중소기업 지원 직접일자리 사업
- 중소기업 취업을 장려하기 위해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사업.
4. 지원 혜택
1)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 취업활동계획(IAP) 수립: 전담 상담사와 함께 개인별 취업계획을 세워 맞춤형 구직 활동 지원.
- 직업훈련 및 재교육: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해 자격증 취득 및 훈련 프로그램 지원.
- 이력서 및 면접 준비: 이력서 작성 및 면접 코칭 서비스 제공.
2) 경제적 지원
- 참여수당: 프로그램 참여 시 교통비와 식비 보조를 위해 월 최대 15만 원 지원.
- 훈련참여지원수당: 직업훈련 참여 시 일당 18,000원, 월 최대 28만 4,000원 지원.
- 취업성공수당: 취업 후 6개월 및 12개월 근속 시 최대 150만 원 지급.



5. 신청 방법
1) 구직 등록
- 고용24 워크넷(https://www.work24.go.kr)에 접속하여 구직 등록을 완료합니다.
- 이력서 및 기본 정보를 등록하고 구직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2) 취업지원 신청
- 온라인 신청: 고용24 국민취업지원제도 페이지에서 취업지원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 오프라인 신청: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을 통해 서류 제출 및 상담을 진행합니다.
3) 심사 및 승인
- 제출된 정보와 서류를 바탕으로 1개월 이내 심사가 이루어지며, 승인 여부가 통보됩니다.
6. 유의사항 및 팁
1) 참여 이력 자동 확인
-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 여부는 통합정보전산망을 통해 자동 확인되므로 별도의 증빙서류 제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 중도탈락 여부 확인
- 1개월 이내 중도 탈락 이력이 있는 경우 신청이 불가하므로 확인 후 신청하세요.
3) 참여 기간 내 신청 필수
- 직접일자리 사업 종료 후 2년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참여 이력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7. 결론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을 통해 취업 역량 강화 및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직 등록과 취업활동계획 수립을 통해 맞춤형 프로그램과 직업훈련에 참여해 보세요. 고용24 국민취업지원제도 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쉽게 신청하거나 고용센터 방문을 통해 신청 절차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총정리 : 참여 대상 및 혜택 소개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저소득층 구직자를 위한 생계 지원과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실업부조입니다. 이 제도는 일자리를 찾고자 하는 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eco.economical-life.com
2025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 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에게 희소식입니다! 2025년에도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 혜택이 지속됩니다. 이 제도는 청년 근로자의 소득세 부담을 줄이고, 중소기업 취업을 장려하기 위해
eco.economical-life.com
실업급여 조기 재취업 시 조기 재취업수당 지급 조건과 신청 방법
조기재취업수당은 실업급여 수급자가 빠르게 재취업하여 고용보험의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고 재취업을 한 수급자에게 지급되는 혜택입니다. 이 글에서
eco.economical-life.com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 FAQ
Q1.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에서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선정 기준은 무엇인가요?
A1. 최근 2년 이내에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통합정보전산망에 등재된 직접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이력이 있는 사람만 해당됩니다. 단, 1개월 이내 중도 탈락자는 제외됩니다.
Q2. 직접일자리 사업에 해당하는 주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A2. 주요 직접일자리 사업에는 공공근로사업,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중소기업 지원 직접일자리 사업 등이 포함됩니다.
Q3. 제출해야 할 필수 서류는 무엇인가요?
A3.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 여부는 재정지원일자리사업 통합정보전산망을 통해 자동 확인되므로 별도의 서류 제출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Q4. 프로그램 참여 시 어떤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A4. 참여수당으로 월 최대 15만 원, 직업훈련 참여 시 일당 18,000원(월 최대 28만 4,000원), 취업 후 6개월 및 12개월 근속 시 최대 150만 원의 취업성공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5. 구직 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A5. 고용24 워크넷(https://www.work24.go.kr)에 접속하여 이력서 및 기본 정보를 작성 후 등록하면 구직 등록이 완료됩니다.
Q6. 취업지원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A6. 고용24 국민취업지원제도 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신청하거나,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Q7.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 이력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A7. 고용센터는 통합정보전산망을 통해 자동으로 참여 이력을 확인합니다. 본인은 고용센터를 통해 확인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Q8. 중도탈락자는 언제 다시 신청할 수 있나요?
A8. 중도탈락 후 일정 기간 동안 참여 제한이 있으므로, 고용센터 상담을 통해 신청 가능 시기를 확인하세요.
Q9.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9.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아 고용센터에서 추천하는 직업훈련 과정을 신청하면 참여할 수 있습니다.
Q10. 취업성공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요?
A10. 프로그램 참여 후 6개월 및 12개월 동안 근속하면 최대 150만 원의 취업성공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 & 정책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 가족 수당 추가 조건, 금액 및 신청 방법 (0) | 2025.01.17 |
---|---|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 대상 조건, 지급 주기,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7 |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 노무제공자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7 |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 소상공인 재취업·재창업지원 추천을 받은 자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7 |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 영세자영업자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7 |